Trop2 ADCs 파이프라인 업데이트: 혁신적인 항암제 개발 현황
최근 항암 치료제 개발에서 주목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는 Trop2를 타겟으로 하는 ADC(항체-약물 복합체) 파이프라인입니다. Trop2 단백질은 다양한 암종에서 높은 발현을 보이며, 종양의 성장, 침투, 전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삼중음성 유방암(TNBC), 비소세포폐암(NSCLC), 췌장암, 전립선암, 요로상피암 등의 암종에서 높은 발현율을 보입니다. 이러한 Trop2 단백질을 타겟으로 하는 ADC는 기존의 HER2 ADC에 이어 새로운 치료제로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Trop2 ADCs 파이프라인의 현황
트로델비(Trodelvy)
2020년에 First-in-class로 출시된 트로델비는 삼중음성 유방암과 비소세포폐암 치료에서 주목받았습니다. 그러나 기대에 비해 치료 효과가 미미하여 상업적인 성공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로델비는 2023년에만 매출액이 1.3조 원을 기록했으며, 2024년 1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39.2% 증가한 약 4천억 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2024년 전체 매출은 2조 원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여전히 효과적인 표적항암제에 대한 높은 수요가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DATO-DXd
트로델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가 공동 개발 중인 DATO-DXd는 Best-in-class로 주목받았습니다. 그러나 2023 ESMO에서 발표된 임상 결과는 유방암과 비소세포폐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항암 효과를 보이지 못했습니다. 현재 면역항암제와의 병용 요법으로 임상을 진행 중이며, 2024 ASCO에서 발표된 다수의 임상 데이터 역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MK-2870
현재 글로벌 임상이 진행 중인 세 번째 Trop2 ADC는 머크와 켈룬 바이오텍이 개발 중인 MK-2870입니다. 2024 ASCO에서 발표된 임상 3상(OptiTROPBreast01)과 임상 2상(OptiTROP-Lung01) 중간 결과는 2차 이상의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에 대한 mPFS가 5.7개월로, 화학요법의 2.3개월 대비 사망 위험이 69% 감소(HR 0.31)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mOS 값은 아직 도출되지 않았습니다.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임상은 중국에서 개발 중인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KLA167)와의 병용 요법으로 진행 중이며, 소규모 환자 대상의 임상 2상 결과는 큰 의미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중요한 것은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서 키트루다와 병용하는 임상 3상(NCT06170788)이 2023년 12월부터 시작되었으며, 이 임상의 Primary Completion Date는 2028년 1월로 예상됩니다.
향후 전망과 과제
Trop2 ADCs는 다양한 암종에서 높은 발현율을 보이는 Trop2 단백질을 타겟으로 하여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임상 결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추가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합니다. 특히 상업성이 높은 비소세포폐암에서의 단독 요법 효과가 부족한 상황에서, 면역항암제와의 병용 요법이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연구와 개발의 방향
Trop2 ADCs의 개발에서 중요한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더 나은 항암 효과 달성: 기존의 임상 결과는 충분한 항암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항체와 약물의 조합, 개선된 약물 전달 시스템 등을 통해 더 나은 항암 효과를 달성해야 합니다.
- 병용 요법의 확대: 단독 요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면역항암제나 다른 표적항암제와의 병용 요법을 적극적으로 연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다양한 암종에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환자 맞춤형 치료 개발: 암 환자마다 다양한 유전자 변이와 종양 미세환경이 존재하기 때문에, 환자 맞춤형 치료 개발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환자의 유전자 정보와 종양 특성을 분석하고, 최적의 치료 조합을 찾는 연구가 중요합니다.
- 임상 데이터 축적: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임상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축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신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고, 승인 절차를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시장 전망
Trop2 ADCs는 여전히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항암제 파이프라인입니다. 특히 삼중음성 유방암과 비소세포폐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높은 발현율을 보이는 Trop2 단백질을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성공적인 개발과 상용화가 이루어진다면 큰 시장 가치를 지닐 것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임상 결과와 향후 연구 개발 방향에 따라 Trop2 ADCs의 상업적 성공 여부가 결정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Trop2 ADCs는 혁신적인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추가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한 단계에 있습니다. 다양한 암종에서 높은 발현율을 보이는 Trop2 단백질을 타겟으로 하여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Trop2 ADCs가 암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이슈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T다이내믹스의 K2 전차 변속기 국산화 및 성장성 가시화 (0) | 2024.06.04 |
---|---|
디지털 임플란트의 혁신, 디오(DIO) Value-Up 전략 (0) | 2024.06.04 |
유한양행 PALOMA-3 데이터 기반 목표주가 상향: 레이저티닙의 가치를 재평가하다 (0) | 2024.06.03 |
하이브 주가의 핵심 요소: 뉴진스의 활동 지속 (0) | 2024.06.03 |
더존비즈온, 제4인터넷은행 도약 위한 본허가 획득: 기업신용등급 제공업 시작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