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 180

포스코인터내셔널: 천연가스 Upstream 도약으로 밸류 리레이팅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천연가스 Upstream 도약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2000년 미얀마 정부로부터 탐사권을 획득한 이후, 여러 천연가스전을 발견하며 천연가스 Upstream 기업으로 도약했습니다. 미얀마 쉐(Shwe, A-1), 쉐퓨(Shwe Phyu, A-1), 미야(Mya, A-3) 가스전의 성공적인 발견과 개발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글로벌 천연가스 시장에서 중요한 입지를 다졌습니다. 특히, 미얀마 A-1과 A-3 광구에서 생산된 가스를 중국 국영 석유회사에 2013년부터 30년간 판매하는 장기 계약을 체결하며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했습니다.미얀마 가스전의 성공적인 운영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13년 6월 가스 생산을 시작으로, 2014년 말부터 하루 평균 5억 ft³의 가스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

이슈 모음 2024.06.17

에코프로비엠: 전기차 지원 정책 후퇴와 실적 전망

에코프로비엠은 전기차 배터리 소재 제조업체로,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EU와 미국의 전기차 지원 정책 후퇴로 인해 에코프로비엠의 실적과 목표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정책 후퇴가 에코프로비엠과 전기차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고자 합니다.EU의 전기차 지원 정책 변화EU는 지난해부터 주요 국가들의 전기차 보조금을 축소하거나 폐지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EURO7의 도입도 연기되었으며, 최근 완료된 선거에서 다수당을 사수한 EPP는 내연기관차 2035년 판매금지를 조정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는 EU 내에서 친환경 정책을 중시하는 좌파의 영향력이 약화되었음을 의미하며, 내연기관차 판..

이슈 모음 2024.06.17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밸류체인의 성장성과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능성

한국가스공사의 천연가스 밸류체인 개요한국가스공사는 국내 가스 수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천연가스 탐사 및 개발 등 업스트림 사업에서부터 LNG 액화플랜트 건설과 운영, LNG 기지 및 도시가스 배관 등 미드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인프라 사업에 이르기까지 천연가스 전 밸류체인에 걸쳐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12개국에서 23개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이는 탐사 3개, 개발 및 생산 8개, 천연가스 액화 8개 및 인프라 사업 4개로 나뉩니다.주요 프로젝트와 성과한국가스공사는 1996년 오만 LNG 사업에 지분 투자로 처음 자원 개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미얀마 A-1/A-3 가스전, 모잠비크 Area4, 이라크 주바이르 유전 등 다양한 업스트림 자원 개발 사업에 참여했습니다. 또한, ..

이슈 모음 2024.06.17

에이플러스에셋: 신계약 판매 및 밸류에이션의 매력

에이플러스에셋의 신계약 판매 성장에이플러스에셋은 2023년 이후 보험업계에서 지속되고 있는 신계약 경쟁 속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1분기 동안 단기납 종신 환급률 규제 이슈와 4월 경험생명표 조정에 따른 절판 효과로 대규모 신계약 성장이 나타났습니다. 특히, 금융당국이 과당경쟁에 대한 우려를 지속적으로 표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이플러스에셋은 신계약 판매에서 약 30% YoY 수준의 증가를 기록하며 뛰어난 성과를 보였습니다.IFRS17 도입 이후의 변화2023년부터 도입된 IFRS17은 보험사의 재무제표 작성 방식을 크게 변화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보험사들은 CSM(Contractual Service Margin) 확보를 위한 신계약 경쟁을 지속하고 있으며, 에이플러스에셋도 이러한 변화..

이슈 모음 2024.06.17

제이투케이바이오: 화장품 원료 수요 폭증으로 본격적인 성장 가속화

제이투케이바이오: 화장품 원료 수요 폭증으로 본격적인 성장 가속화제이투케이바이오 2분기 실적 전망2024년 2분기 제이투케이바이오의 예상 실적은 매출액 123억원, 영업이익 2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6.5%, 88.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력 고객사인 CosRX를 비롯한 코스메카코리아, 한국콜마 등 주요 ODM 고객사로부터의 폭증하는 주문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연간 실적 전망제이투케이바이오의 2024년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81억원과 101억원으로, 이는 기존 추정치 대비 34.2%, 12.5% 상향된 수치입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68.8%, 영업이익은 80.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이슈 모음 2024.06.17

삼양패키징: 영업이익률 회복으로 기대되는 44% 상승 여력

삼양패키징의 사업 개요삼양패키징은 일반 음료수 시장에 사용되는 PET병 제조와 아셉틱 패키징 OEM/ODM 제조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특히 아셉틱 패키징은 무균 패키징 기법을 통해 RTD(Ready To Drink) 커피, 차, 단백질 음료 등에 사용되는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분야입니다.아셉틱 패키징의 중요성아셉틱 패키징은 제품을 무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로, RTD 음료 시장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음료는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며, 냉장 유통이 필요 없다는 점에서 물류 비용 절감과 환경 보호 측면에서도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삼양패키징은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2024년 2분기 실적 전망2024년 2분기 삼양패키징..

이슈 모음 2024.06.17

한국콜마: 폭발적인 주문 증가로 성장을 이끄는 2분기 실적 전망

2분기 한국콜마 실적 전망2024년 2분기 한국콜마의 별도 실적은 매출액 2,900억원, 영업이익 410억원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와 18% 증가한 수치로, 연초에 제시한 한국법인의 매출액 성장률 가이던스(+10% 중반 YoY)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콜마의 생산설비 평균가동률은 110.5%로, 작년보다 14%p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습니다.한국콜마의 생산 능력 확장작년에는 최대 용량으로 생산설비를 운영했던 한국콜마는 올해부터 콜마유엑스와 콜마스크의 화장품 공장 설비를 추가로 활용하여 생산 능력을 확장했습니다. 기존 3.7억 개의 생산 능력에 임시로 1억 개의 CAPA를 추가하여 총 4.7억 개의 생산 능력을 확보했습니다. 이를 통해 최대 생산 능력으로 가동 중임에도 불..

이슈 모음 2024.06.17

코스메카코리아: 한국법인의 실적 호조로 주도하는 2분기 성장

코스메카코리아 2분기 실적 전망2024년 2분기 코스메카코리아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18.5% 증가한 1,370억원, 영업이익은 38.8% 증가한 155억원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같은 실적 호조는 한국법인의 대량 수주와 생산성 향상 덕분에 가능했습니다. 한국법인은 현재 인기 브랜드의 제품을 대량으로 수주받아 생산하고 있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한국법인의 주요 성장 요인한국법인은 클렌징 오일과 패드 제품을 주요 수출 품목으로 자리잡으면서 수출 실적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기 제품의 높은 수주와 생산은 2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의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대량 수주가 이루어지면서 생산 라인에서 제품 변경 없이 지속적인 생산이 가능해져 높은 가동률을 유지할 수 ..

이슈 모음 2024.06.17

빙그레, 날씨 호재로 2분기 호실적 기대

빙그레의 2분기 실적 전망2024년 2분기 빙그레의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234억원과 601억원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8.9%, 영업이익이 30.0% 증가한 수치로, 컨센서스(4,126억원 / 513억원)와 IBKS 이전 추정치(4,160억원/ 574억원)를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이번 2분기 실적 호조의 배경에는 국내외 냉장 및 냉동 부문의 고른 성장세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냉장 및 냉동 부문 성장빙그레의 냉장 및 냉동 부문은 국내외에서 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냉장 부문에서는 다양한 신제품 출시와 마케팅 활동이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냉동 부문에서도 빙그레의 아이스크림 제품들이 소비자들로부터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으며, 해외 시장에서도 점진적인 매출 증가..

이슈 모음 2024.06.17

한섬: KITH Seoul과 Paris로 성장 가속화

KITH Seoul의 성공적인 오픈과 성장한섬의 KITH Seoul 플래그십 스토어는 지난 5월 31일 정식으로 문을 열었고, 그 이후로 국내외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매일 오픈런이 일어나며, 많은 사람들이 KITH Seoul을 찾고 있습니다. 이는 한섬의 목표 매출액을 초과하는 성과를 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KITH Seoul은 기존 수입 브랜드와 유사한 총마진율(GPM)을 보이지만, 플래그십 스토어이기 때문에 유통 수수료 절감의 이점이 있어 수익성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불어 KITH Seoul 외에 추가 출점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합니다.Paris에서의 브랜드 확장한섬은 시스템, 타임 등 자체 브랜드를 통해 파리에서의 해외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외 진..

이슈 모음 2024.06.17